메소드의 정의 와 호출 정의 : 직접 메소드를 만드는 것 호출 : 만들어진 메소드를 실행하는 것 ex) public static void numbering(){ int i = 0; while ( i < 10){ System.out.println(i); i++ } } //윗부분이 메소드의 정의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numbering(); // 메소드 호출 } main main 메소드는 규칙 실행되기를 기대하는 로직을 위치시켜야한다. 메소드 사용 이유 - 재활용 - 코드량이 적어진다. - 유지보수에 용이하다. 메소드의 입력 메소드의 입력 값은 매개변수(parameter)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ex) public static void numbering(int ..
Array (배열)은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 배열의 생성 : ex) String[] classGroup = { "1반" , "2반" , "3반", "4반" }; System.out.println(classGroup[0]); // 0은 index 또 다른 방법 배열의 선언 : ex) String[] classGroup = new String[4]; classGroup[0] = "1반"; // "1반" 은 element (원소) classGroup[1] = "2반"; classGroup[2] = "3반"; classGroup[3] = "4반"; 배열의 길이 (원소의 개수) ★★★ 배열의 값이 아닌 배열의 수용할 수 있는 개수를 의미 한다. System.out.println..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도록 하는 것 if( if절 : if뒤의 괄호) { // then 절 : 중괄호가 감싸고 있는 구간 // 조건이 true 이면 then 절 실행 , false면 then 절이 실행 되지 않는다. } else if 만으로는 부족 좀 더 복잡한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 ex) if의 조건이 false면 else 실행 if(){ } else{ } else if 조건문의 흐름을 좀 더 자유롭게 제어 가능 else if는 여러 개가 복수로 등장 가능 else 절은 생략이 가능 else if 절이 else 절보다 먼저 등장 X ex) if의 조건이 false 이고 else if의 조건이 true 이면 else if 실행 if() { } else if(){ } else{ } sw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