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lean (불린)은 참과 거짓을 의미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bool이라고도 부른다. 참: true , 거짓: false 비교 연산자 주어진 값들이 같은지, 다른지, 큰지, 작은지 구분하는 것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true 나 false 중 하나 == : 서로 값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 != : 서로 값이 다르면 true 같으면 false !는 부정을 의미 , 부정은 같지 않다! >= 좌항이 우항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 , 다르면 false .equals : 문자열 비교할 때 사용하는 메소드
특정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호 대입 연산자 = ex) x = 1 산술 연산자 - 수학적인 계산에 사용되는 연산자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나머지 단항 연산자 + 양수를 표현 - 음수를 표현 ++ 증가 연산자로 값을 1씩 증가 -- 감소 연산자 연산의 우선 순위
데이터 타입을 변경하는 것 형식이 다른 데이터들을 더하려면 한쪽의 데이터 타입을 다른 쪽의 데이터 타입으로 전환해야 한다. 자바는형 변환을 자동으로 처리해주는데 이러 한 전환작업을 자동(암시적) 형 변환 이라고 부른다 ex) double a= 3.0F; 3.0F의 값은 자동으로 double 타입으로 형 변환 이유: double 타입이 float 타입보다 더 많은 수를 표현 할 수 있기 때문 반대로 float a = 3.F 는 에러 발생 명시적 형 변환 자동 형 변환이 적용되지않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형 변환을 해야 한다. ex) float a = 100.0; (100.0 은 double) - 정보의 손실 - 에러 발생 int b = 100.0F; 실수형을 정수형에 대입하면 소수점이하가 날라서 정보 손실 -..
주석 - 로직에 대한 설명이나 코드를 비활성화 할 때 사용 한줄 주석 = // 여러줄 주석 = /* */ JavaDoc 주석 = /** * * * */ 세미콜론 - 문장의 끝을 의미 - 자바에서 사용하지 않으면 컴파일 에러 발생 - ex) System.out.println("abc");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