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

Post,Put,Delete

Post API 리소스를 추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API @PostMapping:POST API 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노테이션(Annotation) @RequestMapping + POST method 의 조합 일반적으로 추가하고자 하는 Resource를 http body에 추가하여 서버에 요청 @RequestBody를 이용하여 body에 담겨있는 값을 받아야함 Put API 해당 리소스가 존재하면 갱신하고 (수정) 리소스 없을 경우에는 새로 생성 (추가) 해주는 API 업데이트를 위한 메소드 기본적인 동작 방식은 Post API와 동일 ResponseEntity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클래스 중 HttpEntity라는 클래스를 상속받아 사용하는 클래스 사용자의 HttpReque..

Spring

RequestMapping

@RequestMapping value 와 method로 정의하여 API 개발하는 방식 이제는 고전적인 방법으로 잘 사용하지 않음 @GetMapping (without Param) 별도의 파라미터없이 GET API를 호출하는 경우 사용되는 방법 @PathVariable GET 형식의 요청에서 파라미터를 전달하기 위해 URL에 값을 담아 요청하는 방법 변수의 관리의 용이를 위해 사용되는 방식 @RequestParam Get 형식의 요청에서 쿼리 문자열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를 기준으로 우측에 {키}={값}의 형태로 전달되며, 복수 형태로 전달할 경우 &를 사용함

Spring

Spring 주요 특징

개발을 더 쉽게 해주는 기술들 : IoC, Di, AOP 등이 있다.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 반전) 개발자는 JAVA 코딩시 new 연산자, 인터페이스 호출, 데이터 클래스 호출 방식으로 객체를 생성하고 소멸시킨다. 인스턴스(객체)의 생성부터 소멸까지 객체 생명주기 관리를 개발자가 하는게 아닌 스피링(컨테이너)가 대신 해주는 것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객체와 자원을 이용하는 방법이 더 복잡해지고 어디서 코드가 꼬일지 모르는 것을 자동으로 관리해준다. 제어권이 개발자가 아닌 IoC에게 있으며 IoC가 개발자의 코드를 호출하여 그 코드로 생명주기를 제어하는 것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프로그래밍에서 구성요소 간의 의존 관계가 소스코드 내부가 ..

Spring

프레임 워크 - Frame work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이자 약속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하나의 뼈대 역할 자주 쓰일 만한 기능들을 한데 모아 놓은 유틸(클래스)들의 모음(집합) 설계의 기반이 되는 부분을 기술한 확장 가능한 기반 코드와 사용자가 이 코드를 자기 입맛대로 수정, 확장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 이 두가지 요소가 통합되어 제공되는 형태 프레임 워크의 장점 비교적 빠른 시간에 완성 및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기본적인 설계나 필요한 라이브러리는 알아서 제공해줄꺼니깐 개발자는 만들고 싶은 기능을 구현하는데 집중 프레임 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점 라이브러리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짜다가 라이브러리가 필요한 순간에 인지하고 라이브러리를 직접 추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을때 가져다 쓰는..

Spring

Spring

JAVA의 웹 프레임워크로 JAVA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 JAVA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래밍 틀이라 할 수 있다. JAVA를 이용한 기술은 JSP, MyBatis, JPA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 기술들이 프로젝트에 많이 쓰인다 Spring은 이 기술들을 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Spring의 장점 중복코드의 사용률을 줄여주고, 비즈니스 로직을 더 간단하게 해줄 수 있다. 오픈소스를 좀더 효율적으로 가져다 쓰기 좋은 구조 정리 JAVA 기술들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레임 워크

Sun-Koo
'Spr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